주말마다 서울 근교로 드라이브 또는 1박으로 에어비앤비 숙소를 잡고 놀다가
일요일에 다시 서울로 복귀하면서 언젠간 나도 주말마다 갈 수 있는 별장,
세컨드 하우스를 마련하겠다고 다짐했다.
집을 새로 마련하면서 인테리어 하는 재미도 알게 되었고 월세나 전세로 구해서 에어비앤비 운영을 하는 것보다 시골에 오래된 구축 주택을 매매로 사서 조립식으로 짓고 인테리어를 해서 에어비앤비로 빌려주고 가끔 가족들도 가서 쉴 수 있는 그런 공간을 마련하면 괜찮겠다
한 달에 200만 원만 벌어도 괜찮을 듯싶은데

평균적 에어비앤비 수입은 얼마나 될까? 궁금해졌다
원룸보단 낫다는 평이 많다. 원룸에서 기대하는 수입보다 3-4배 정도 높다고 한다. 성남 오피스텔 호스트는 월 160-170만 원 번다고 한다. 집마다 차이가 있으니 평균 수익은… 60세 이상 호스트도 많은데 국내 시니어 호스트 평균 300만 원 정도 수익을 보았다 하니, 적진 않는 듯
에어비앤비 수수료는?
호스트가 부담하는 수수료는 3%, 수수료 제하고 숙박료 가입금된다고 한다.
집에서 먼 곳에 에어비앤비를 창업하는 건 좋은 생각이 아닌 것 같다
먼 곳에 있으면 게스트에게 빠른 응대가 어렵다 그때마다 요구사항이 있는데 (예를 들어 보일러 고장, 에어컨 고장. TV 고장) 멀리 있다면 당장 응해줄 수 없으니 나쁜 평점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아예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 그 지역에 사는 사람을 고용해서 청소나 고객 응대 서비스를 맡겨도 된다, 대신 비용이 들겠지
인테리어 할 때 소품은 너무 비싼 걸로 하면 안 될 듯하다.
파손에 대해 손해를 묻기 어렵고 또 자잘한 잔흠집에 스트레스받기보단 저렴하지만 심플한 아이템을 잘 골라서 인테리어 하는 게 좋을듯하다
슈퍼 호스트가 되면 예약률이 높아진다
슈퍼 호스트가 되기 위한 방법은 좋은 댓글과 평가가 모이면 자동으로 되는데 처음 에어비앤비를 열고 슈퍼호트스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다. 마치 티스토리를 열고 애드센스를 신청하고 기다리는 것처럼.
자기 집 근처에 숙소를 검색해봐서 에어비앤비 숙소로 경쟁자를 검색, 본인이 경쟁력 있는 에어비앤비 숙소를 운영할 자신이 있으면 시도해도 좋을 듯
물론 서울은 보통 자본금으로 매매로 운영하기는 어려울듯하다. 전세나 월세로 빌려서 에어비앤비 숙소로 운영해도 좋을 듯하다.
시골집을 에어 앤비 숙소로 운영하려면?
먼저 관할 시군구청에 민박업 신고를 해야 한다
외국인 관광 도시민박업

필요서류
- 사업계획서 신청인의 성명 및 주민등록을 기재한 서류
- 부동산 소유권 및 사용권 증명서류
- 시설 평면도
내 집에서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임대차 계약을 할 때 보통 전대금지 조항이 있으니 임대차 계약 시 임대인에게 외국인 관광 도시민박업을 한다고 설명하고 계약해야 한다
오피스텔에서 에어 앤비 숙소를 운영할 수 있을까?
오피스텔, 원룸형 주택은 외국인 관광 도시민박업이 불가하다 근데 사실 다들 한다. 환경위생과 단속 안 하니?
원룸, 오피스텔에서 에어비앤비 수익률이 높다고 한다.
나도 10년 안에 에어비앤비로 숙소를 운영해보고 싶다.
내가 관리하기 용이한 서울 근교 가평이나 양평? 지금부터라도 좀 물색하고 공부해봐야겠다.
만약 부모님이 사시는 오래된 시골집이 있다면 도전해도 좋을 듯하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하락의 시작인가ㅣ부동산 침체기 ㅣ서울 집 사야하나 말아야하나 (0) | 2022.06.03 |
---|---|
매일 한잔 아이스라떼 살찔까ㅣ 찐다쪄 ㅣ 200% 찝니다 ㅣ아이스라떼칼로리 (0) | 2022.05.31 |
필름형 자동차 불량 번호판 A/S받으려면ㅣ필름벗겨짐 현상ㅣ녹색번호판 재발급 (0) | 2022.05.26 |
오토바이 폐지 신고하기 ㅣ필요서류 뭐가 있을까ㅣ 분실, 도난시는? (0) | 2022.05.24 |
인플레이션 언제까지 ? 침체장 바닥신호는 무엇일까?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