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인플레이션 언제까지 ? 침체장 바닥신호는 무엇일까?

by 꾸준한잉여짓 2022. 5. 24.
728x90
반응형

미국 연준이 금리를 큰 폭으로 올리며 미증시는 작년 말을 기점으로 저공 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면서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져들고 증시가 앞으로 더 추가적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로젠버그 리서치 사장 데이비드 로젠버그는 5월23일 마켓워치에서
글로벌 금융위기때인 2008년 여름을 다시 경험하는 것 같다며 S&P500지수가 3300까지 하락해야 바닥을 마련할수있을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 이후 2년간 엄청난 유동성으로 강세장을 누렸고 이제 코로나 거품일 빠질 것이라 지적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은 매우 빠르게 떨어질것으로 전망했는데 이유는 고 달러로 수입물가가 떨어지고 재고 부족 상태에서 과잉상태로 바뀌어 가격 할인이 필요 해질 것이며, 원자재 가격도 이미 정점을 지나 떨어지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은 침체적 약세장의 익숙한 패턴을 따라가는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아마도 시장의 고점이나 저점을 알아낼수는 없지만 펀더멘털 저점에서 패턴이 있다고 지적했다

1. 경기 침체에 대한 전망이 주류가 되고 기업들의 실적 전망치를 과도하게 하향조정하는것
2. 또한 침체적 약세장에서 시장이 저점에 도달하려면 실질적 통화정책 완화가 있어야 한다
3. 또한 채권 가격이 크게 올라야 주식에 대해 낙관적 견해를 가질 수 있다며 침체장 막바지 때를 보면 10년 물 국채 수익률이 다시 2%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4. 또한 약세장에서는 S&P500지수의 배당수익률이 채권수익률에 수렴될 때까지 약세장이 끝나지 않는다고 했다.


현재 보면 배당수익률이 10년 물 국체 수익률과 비슷해지는 S&P500지수 수준이 3300이라고 지적했다
현재의 S&P500지수를 보았을 때 앞으로 17%가량의 추가 하락을 의미한다

두둥.

그럼 앞으로 추가적인 하락이 있을 가능성이 크고 아직 바닥이 아니라는 소리이다.
그러니 당분간 계좌를 보는 일이 없도록.

현업이 집중하는 게 답이다

728x90
반응형